노동복합시설
외부리노베이션 전략
외부 리노베이션 전략해당 노동복합시설을 위한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건축법상 ‘수선’의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특수성을 지니므로 외관의 변화는 최소한의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이에, 기존 건물을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로 구분하여 각 부분에 적용되는 최소한의 조작을 통해 최대의 효과를 목표로 하는 것을 작업 전략으로 삼았다.
정면도
우측면도
외부 리노베이션 개념도
변화의 첫 단계_열린 저층부
외부 가로와 맞닿은 저층부 입면은 크게 두가지 변화를 나타낸다. 1. 보행자와 차량을 위한 출입구에 기존 건물의주재료와는 다른 금속재료의 ‘프레임’을 덧붙여 내부공간의 변화를 암시, 2. 1층 입면을 투명한 유리문 방식으로교체하여 보행자들이 보다 쉽게 건물내부를 볼 수 있고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소한의 작업이 가해진 저층부 입면을 통해 기존 건물은 그 변화의 단서를지속적이고도 친절한 방식으로 외부를 지나는 보행자에게 드러내게 된다.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기존 건물을 기억 하는_중층부
기존건물의 중층부는 크게 붉은 타일과 유리창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측의 커튼월은 반사유리가 쓰여 청계천의 모습을 또 다른 방법으로 드러내고있다. 중층부는 지금 현재의 재료, 모듈 등은 그대로 유지한채 보수 및 대체하는 방법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다.이를 통해 노동복합시설은 기존건물의기억을 이어받으며 새로운 시작을 알리게 된다.
3층 평면도
4층 평면도
새로운 경관을 선물하는_고층부
노동복합시설은 청계천을 마주하고 가로의 모퉁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리높지 않은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청계천변을 따라 어디에서나 잘 보이게 된다. 이러한 입지적 특성을 고려해서 옥상공간에 정원 및 전망대를 배치하고특수한 조형물(안개를 뿜어내는 장대들)을 설치함으로써 주간에는 물안개구름을 만들고, 야간에는 조명장치로활용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 내도록 한다. 이러한 기존건물의 변화는 청계천에 새로운 경관을 선사하며 명물로 자리하게할 것이다.
5층 평면도
옥탑층
내부 리노베이션 전략
외부의 변화가 최소화되어야 하는 프로젝트의 성격상, 내부공간은 층별로 최대한 다양하게 하는 것을 공간배치의 전략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각 층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닝개념과 층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레이아웃개념, 이렇게 두가지 내부공간 전략이 수립되었다.
추후 내진설계 방법
본 건물은 1963년에 준공된 건축물로 현재 내진설계가 적용되어있지 않다. 이에, 금번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내진성능을 갖춘 건축물로 탈바꿈하기 위한 적합한 구조보강 방법(강판보수공법+고장력강재 브레이싱 혼합방식)을 제안한다.